240719 파이썬반
1. 외부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올 때 알아야할 전문 용어
서버와 클라이언트
- 클라이언트 : 고객사(*브라우저를 통해 네이버를 들어감, 네이버 메인 화면 줘 요청)
- 서버 : 메인페이지 달라는 요청이군, 줄게
- 정리 :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달라고 요청하고, 서버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돌려준다
- 추가 예시 : *브라우저를 켜서 주소창에 url를 입력하는 것(클라이언트의 요청에 해당, url(ex.naver.com == 서버주소 == 내가 원하는 데이터의 요청주소,)
2. 서버에 정보를 달라는 파이썬 코드 작성해보기
pip install requests
파이썬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낼 수 있는 도구(브라우저처럼 서버로 요청을 보낼 수 있는 패키지)pip
: 패키지 관리 시스템으로 'pip list' 출력시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가능
import requests
url = 'https://fakestoreapi.com/carts'
data = requests.get(url).json()
print(data)
- url : 요청을 보내는 서버 주소
- request.get(url)이란 해당 서버(url)에 데이터를 달라고 요청을 보내는 함수
- .json() : 내부의 데이터를 JSON 형태로 변환해주는 함수
3. 서버는 어떻게 요청을 해석할까
- 서버-클라이언트 작업 수행시, 서버는 파이썬으로 이루어진 게 아닌데 어떻게 작동되는 걸까?
- 바로
API
가 그 역할을 한다 -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: interface란 통신, 징검다리 역할
- 클라이언트는 파이썬으로 서버가 미리 만들어놓은 주소로 요청을 보내는 것
즉, API(함수덩어리)는 클라언트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버 측에서 많들어 놓은 프로그램임(기능 예시 : 데이터 저장, 조회, 수정, 삭제 등등
4. 오픈 API와 API KEY
- 날씨 정보를 제공해주는 서버와 해당 서버가 제공하는 API : 무료로 제공해주는 API를 오픈 API라 함
- 악성 사용자가 100만 개의 계정을 생성해 API에 요청을 한다면 서버가 터지고 만다
- 따라서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
API KEY
발급을 한다 - 서버에 요청할 때 마다 해당 KEY를 함께 보내 정상적 사용자인지 확인받는 것
- 그럼 왜 우리 실습 때 쓴 서버에는 API KEY가 없었을까? :
악성 유저들은 다 돈을 벌기 위함이고 실습용 서버는 돈이 안되서임
- *
KEY 사용시 사용량 늘 체크하기
5. API가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 : JSON
- *
가볍게 만들어 놓은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형식
- JSON이란 통신 방법이나 프로그래밍 문법이 아니라 단순히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(자바 스크립트 객체 표기법 JavaScript Object Notation)
- 파이썬 딕셔너리 형태와 똑같이 생김(키-벨류 쌍)
- 그런데 파이썬은 JSON을 활용하는 기능이 있어 python dictionary 형태로 변환 가능
json.load()
6. openweather에서 날씨 데이터 가져오기
- 공식문서를 꼭 보기
- parameter 중 required는 꼭 필요한 매개변수
'SSAF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수업복습] git repo (0) | 2024.07.20 |
---|---|
[1학기 1주차 수업 후기] 주말이당 (0) | 2024.07.19 |
[수업기록] 모듈과 제어문의 모든 것 (1) | 2024.07.18 |
[수업기록] 파이썬 함수의 모든 것 (1) | 2024.07.17 |
[수업기록] 파이썬 기초 문법(2) (4) | 2024.07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