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 # n*m 입력받기(n*m사이즈 원소 0으로 초기화)
# range 범위 M(열)부터
mat1 = [[0 for _ in range(M)] for _ in range(N)]
mat2 = [[0 for _ in range(M)] for _ in range(N)]
mat3 = [[0 for _ in range(M)] for _ in range(N)]
# [[0,0,0],[0,0,0],[0,0,0]]
# 하나의 행렬을 만들 때는 이중 for문 하나~!
# mat1 완성시키기
# 행렬 원소 입력 받기
for i in range(N): # 행 줄 n개 만들기
col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for j in range(M):# for문으로 mat[i][j]는 0,0좌표 부터 돌리기
mat1[i][j] = cols[j]
for i in range(N):
col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for j in range(M):
mat2[i][j] = cols[j]
#행렬 더하기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M):
mat3[i][j] = mat1[i][j] + mat2[i][j]
#더한 행렬 출력하기
#인덱스는 자릿수를 의미 ex) a_ij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M):
print(mat3[i][j],end=' ')
print() #두번째 for문 끝나면 아래 print() 실행 후 i+1
* 참고로 split :
split(' '))) #split()과 동일함(가독성측면)
*이중 for문 출력 위치 주의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재귀함수] 개념, 알고리즘 코드 (0) | 2023.07.29 |
---|---|
[모듈 기본개념] import 모듈 (0) | 2023.07.24 |
최소공배수, 최대공약수 구하기 (0) | 2023.07.15 |
선택 정렬 코드 흐름 (0) | 2023.07.13 |
for문은 순차대입 반복 수행문이다! (0) | 2023.07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