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PA란? Window 환경에서의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프로그램(로봇)이다.
그럼 공공기관 현업에 도입되기 시작한 RPA를 배워보자!
참고로 RPA 도구 중 Uipath Studio를 사용하겠다.
[개념]
세 가지 이상의 업무 툴 다룰 때 써라!
(ex 엑셀만 다룰 경우 mecro를 써라)
[시작하기]
시작 전 edge(chrome 말고) 열어서

오른쪽 상단 점 세개 (alt+f) 클릭>'확장' 클릭

파랗게 ON(활성화)

다시 uipath studio > 도구 > edge > 현재 사용자로 설치되어 있나 확인
(혹시 edge 안되면 chrome으로 할 것)

프로세스(시작하기) 클릭(새 창 만들기 같은)
끝 😊
*참고로 템플릿이란? 대기업 등 미리 만들어둔 템플릿 내에서 작업하는 것
[새로 만들기 실행 후]
액티비티 클릭 > type into (액티비티) 입력 > main board에 마우스로 끌어 당기기(그럼 화면 표시가 뜸) >메모장(txt) 빈 파일 열기> studio 창 다음으로 txt창 켜놓기 > text 란에 입력 후(string은 따옴표 사용!) > 실행해보려면 파일 디버깅 클릭 > 파일실행 클릭

실행하면 이렇게 뜸!!

TIP 주석 활용하는 습관 들이기(비즈니스에서)
ex) '메모장'

작업 추가하려면 + 버튼 > 검색창이 뜸> 수행할 작업명 입력

*참고로 write line은 [출력] 안에 쓰는 것

[액티비티 get]
적용할 보드 클릭

속성 클릭> 출력 - 값에 >ctrl K 입력 > 변수입력

아래 변수 클릭해서 잘 만들었는지 확인

TIP 파일이 여러 개일 때, 실행버튼은 첫번째 파일에만 해당.
두번째 파일부터는 해당 파일 클릭하고 파일 디버그>파일 실행 누르기!

[액티비티 flow decision]
sequence x, 플로우 차트 쓰기
[실습 : 웹 크롤링 - 시청률]

창 새로 열어서 > 액티비티 open browser 넣고 > url 주소 넣고 >
#리멤버 : 주석 달기
속성 > 출력값의 ul 브라우저 유형 설정 > edge로 열리게끔 선택

+ 클릭해서 액티비티 더하기 > type into 넣고 > #주석 달아서 알아볼 수 있게끔 이름 바꾸고 > 검색어 아래 text에 str("")으로 입력하고 >
삼단 막대기 아이콘 클릭 > 화면에 표시하기 클릭 >열린 url 창에서 f3의 이미지 영역 선택(=요소 선택) > 다음 실행할 액션의 요소 클릭(검색창)>
click 액티비티 더해서 > 이하 동일

화살표 아래 + 버튼 > sequence 생성 > attach browser 액티비티 추가 > 스크래핑 클릭

데이터 스크랩핑 > url에서 스크랩할 테이블 선택 > 테이블이 만들어짐

main 창에 write range workbook(액티비티) 더하기
TIP 오류가 뜬다면 속성-출력 값과 변수, 변수- 설정범위(한 창에 국한x) 잘 설정되었나 확인